Gazing #1,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Villa of the Mysteries (2012)
사진이 만들어낸 간극 사이로 나의 갈등은 그 모습을 드러낸다. 내 것이 아닌 나의 시선과 내 것으로 만들려는 나의 의지 사이 어딘가에서 시작된 이 갈등의 실체에 다가가기 위해 나는 어디로 향해 나아갈지 보다는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할지 자문한다. 사진은 이 여정을 무심히 지켜보며 출발점을 찾아 방황하는 나의 모습을 기록한다. 그러므로 사진은 내 갈등의 시각적 실현이며 내 저항의 물질적 증거이다.
이 자리 찾기의 여정을 부모님의 이미지가 자리한 어떤 지점으로부터 출발해본다. 그 자리는 바로 경기도 광주에 자리한 빈터이다. 수년 전 당신들의 죽음을 준비하며 마련한 공원묘지의 빈 묏자리는 영원히 고정되어버릴 죽음의 이미지로서 뚜렷한 삶의 한계를 시각화한다. 그 이미지는 끊임없이 돌아와 무력함으로 맞서야 할 나의 의무와 나의 자리를 알려주는 듯하다.
《Villa of the Mysteries》은 이 죽음의 절대성에 맞선 나의 저항의 결과물이다. 이 작품을 통해 빈 묏자리에 내재된 죽음의 구조를 부모님의 삶이 현존하는 거실로 온전히 옮겨와 재현해본다. 두 극단의 장소를 병치시킴으로 죽음의 이미지는 삶의 장소에서 반복된다. 이 반복의 의식은 두 장소 사이의 간극이 상징하는 의미, 즉 삶과 죽음의 구분을 희석시킨다. 죽음의 이미지가 삶의 공간에 스며들 때 사진은 나에게 렌즈 뒤 숨을 만한 적당한 공간을 마련해주고 이제는 무심한 관객의 위치에서 그 광경을 응시하게 만든다. 그제야 내 부모님의 이미지는 내가 저항해야 할 환영임과 동시에 되찾아야 할 실체임을 깨닫게 된다.
나는 부모님의 이미지라는 단단한 벽을 초월하여 그 너머에 자리 잡고 있는 갈등의 무상적 실체에 다가가 보려 한다. 사진을 통해 내 부모님의 이미지는 반사되고, 반복되며, 배가되고, 저항할 수 없는 사각의 틀 안에 힘없이 가둬지고 격리된다. 이러한 사진의 독특한 질서는 나에게 이미지의 표면 위를 두려움 없이 걸어갈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Photography suggests a distance between the seen and the eye. Through that distance, my personal conflict reveals its presence. The conflict emerges between the authority of images that dominate my vision and my will to resist its power. In order to reveal the substance of this conflict, I question the point from which my photography departs, rather than the destination to which it proceeds. Photography witnesses my endeavor to locate this point of departure, thereby, capturing the struggle in the form of a visual register. Therefore, my photography is a visual realization of the conflict, as well as, a testimony of the distance prompted by my resistance.
This investigation departs from where the image of my parents lies. The clues are scattered at a graveyard at Gwangju, a city in Gyeonggi-do province in South Korea. The empty plot that my parents prepared for their after-life is an image of death that will be fixed eternally in the landscape, as well as, in my mind thereby defining clear boundaries of their lives. That image allows me to ascertain my position both physically and relationally, and imparts on me the duty, as a son in Confucian culture, to confront it helplessly for the rest of my life.
The inherent power structure of the empty plot, the image of death I confront, is reenacted at a place that can be considered to be on the opposite end of the spectrum in my parents’ living room. By juxtaposing the empty plot against my parent’s living room, the structure of death is repeated. This ritual of repetition diminishes the significance of the distance that exists between the two contrasting locations. When the image of death at the grave permeates the image of life in the living room, photography secures my safe position behind the lens and allows me to contemplate the view as an indifferent spectator. Only then does the distance awaken in me the realization that my parents are the substance of the illusion that I resist and the evidence of what I struggle to reclaim.
I attempt to transcend the threshold placed on me by my own sight in order to touch upon the imageless substance that lies behind the boundaries of my vision. Photography allows my parents to be reflected, repeated, dismembered and irresistibly contained within the square frame; a square frame that occludes my vision, leading to a sense of isolation. Indeed, this particular order of photography demonstrates how I am able to walk fearlessly on the surface of images.
Gazing #2,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Gazing #3,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Covering #1,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Covering #2,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Covering #3,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Hiding #1,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Hiding #2,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Hiding #3,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One Step Forward #1,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One Step Forward #2,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
Two Mirrors, 2012, Digital C-print, 114.3 x 152.4 cm